오페라 지휘자 이든 “지휘봉 들면 성악가도 되고 연주자도 되죠”

한국인 최초 브장송 콩쿠르 수상…’알제리의 이탈리아 여인’으로 국내 데뷔

“30대 지휘자 젊단 생각 안 해…흉내 내지 않는 나만의 지휘 추구”

지휘자 이든
(서울=연합뉴스) 류효림 기자 = 국립오페라단 2024년 첫번째 정기공연 ‘알제리의 이탈리아 여인’의 지휘를 맡은 지휘자 이든이 지난 15일 서울 서초구 예술의전당 N스튜디오에서 연합뉴스와 인터뷰에 앞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2024.2.17 ryousanta@yna.co.kr

(서울=연합뉴스) 강애란 기자 = 오페라는 클래식 공연 가운데서도 성악, 관현악, 연출 등이 복합적으로 얽혀있는 종합예술로 꼽힌다.

막이 오르면 공연을 진두지휘하는 건 무대 아래 깊이 파인 공간인 오케스트라 피트에서 지휘봉을 든 지휘자다. 객석에서는 뒤통수만 빼꼼히 보이는 오페라 지휘자는 화려한 의상을 입고 무대를 누비는 성악가와 오케스트라의 호흡을 순간순간 상황에 맞춰 촘촘하게 조율해야 한다.

일찍이 ‘오페라 지휘자’로 커리어를 굳힌 이든(36)은 이런 오페라 지휘 체계를 누구보다도 잘 이해하고 있는 듯했다. 지난 15일 서울 서초구 예술의전당 N스튜디오에서 만난 이든은 “감사하게도 제 지휘가 편하다고들 해주신다”며 웃었다.

이든은 오는 22∼25일 국립극장에서 국립오페라단이 공연하는 로시니의 ‘알제리의 이탈리아 여인’으로 국내 전막 오페라 데뷔 무대를 치른다.

2021년 프랑스 브장송 국제 지휘 콩쿠르에서 한국인 최초로 입상하며 이름을 알린 이든은 지휘에 앞서 성악과 피아노를 전공했다. 중학교 진학 시기에 “음악을 하고 싶다”며 훌쩍 이탈리아로 유학을 떠나면서 음악 인생이 시작됐다.

밀라노 베르디 음악원에서 피아노와 성악을 전공했고, 2012년 미국으로 건너가 매네스 음대에서 성악을 공부했다. 테너로 뉴욕 카네기홀에서 독창회도 가졌지만, 음악가로서 늘 마음속에 간직하고 있던 종착지는 지휘자였다고 했다. 미국에서 유스 오케스트라 지휘를 맡게 되면서 본격적으로 지휘자로 발을 내디뎠고, 다시 베르디 음악원으로 돌아가 지휘 석사과정을 밟았다.

이든은 “성악가가 되고 싶었던 때도 있었지만, 슬럼프가 왔고 ‘이 길이 아니다’라는 생각이 들었다”며 “그때 지휘를 제대로 공부했는데, 공부할 게 너무 많은데도 마냥 좋았다”고 회상했다.

지휘자 이든
(서울=연합뉴스) 류효림 기자 = 국립오페라단 2024년 첫번째 정기공연 ‘알제리의 이탈리아 여인’의 지휘를 맡은 지휘자 이든이 지난 15일 서울 서초구 예술의전당 N스튜디오에서 연합뉴스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2024.2.17 ryousanta@yna.co.kr

지금까지 15개 안팎의 오페라 전막을 지휘한 이든은 지난해에는 불가리아 플로브디프 오페라 지휘 콩쿠르에서 우승하며 역량을 증명했다.

오페라를 지휘할 때 가장 행복하다는 그는 “지휘를 지휘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소프라노가 노래할 때는 저도 소프라노가 된 것 같고, 합창할 때는 합창단 단원이 된 것 같아요. 오케스트라가 연주할 때는 그 악기 중 하나가 된 것 같고요. 매일매일 같은 작품을 해도 흥미롭고, 새로운 걸 발견할 수 있었어요.”

이든은 오페라 지휘자로서 자신의 강점이 뭐냐는 질문엔 “과거 무대 위에 섰던 사람으로서 성악가들이 어떤 고충을 겪는지 안다”고 답했다.

그는 “공연마다 성악가의 호흡과 프레이징(음악의 흐름을 유기적인 의미나 내용을 갖는 악구로 구분하는 일)이 다르다”라며 “이런 부분을 공연 때 바로바로 캐치하고 지휘에 반영하다 보니 제 지휘가 편하다고 말해주는 것 같다”며 쑥스러운 듯 조심스럽게 말했다.

오페라에서 성악가들은 연기를 하면서 노래하다 보니 리허설 때와는 달리 실제 무대에서 호흡이 딸리거나 프레이징이 짧아질 때가 있다. 반대로 공연 날 컨디션이 좋아 고음을 더 오래 끌 때도 있다. 이런 현장 상황을 무시하고 미리 계산해 놓은 대로 지휘하면 ‘노래 따로, 오케스트라 따로’가 된다는 것이다.

“간혹 오케스트라와 무대 위가 맞지 않는 공연이 있어요. 예를 들면 무대에서 성악가가 턴을 다 못했는데 ‘이 부분은 5초로 연습했어’라며 바로 다음으로 넘어가 버리는 식이죠. 그래서 공연 때는 오케스트라도 성악가도 서로 편의를 봐줘야 해요. 이걸 조율하는 게 지휘자고요.”

포즈 취하는 지휘자 이든
(서울=연합뉴스) 류효림 기자 = 국립오페라단 2024년 첫번째 정기공연 ‘알제리의 이탈리아 여인’의 지휘를 맡은 지휘자 이든이 지난 15일 서울 서초구 예술의전당 N스튜디오에서 연합뉴스와 인터뷰에 앞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2024.2.17 ryousanta@yna.co.kr

지휘자라고 하면 백발의 나이 지긋한 모습이 먼저 떠오르는 클래식계에서 이든은 30대 지휘자로도 주목받는다. 평생 공부하는 삶을 살아가는 음악가로서 지금도 1년에 한 번은 스승인 핀란드의 거장 지휘자 요르마 파눌라를 찾아가 점검받는다.

이든은 나이에 대한 생각을 묻자 “30대 중반을 젊은 지휘자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라고 솔직한 생각을 밝혔다.

“나이가 많다고 경험이 많은 건 아니라고 생각해요. 제가 그(경력이 많은)분들보다 뭘 더 해야 할지 생각하면 짧은 시간 동안 더 많은 것을 일궈나가야 해요. 그만큼 더 많이 공부하고 있어요.”

포디움에 설 때면 언제나 최선을 다한다는 이든이 향해가고 있는 지휘자는 어떤 모습일까. 그는 “흉내 내지 않는 지휘자”라고 답했다.

“남을 따라 하는 지휘자가 되고 싶지 않아요. 젊은 지휘자 중에서는 종종 누군가의 지휘를 흉내 내는 경우가 있어요. 또래 지휘자들끼리 모이면 그런 이야기를 하곤 해요. ‘너 그 선생님처럼 하더라?’, ‘오늘은 (전설적인 지휘자) 아바도?’라면서요. 그러면서 고쳐나가기도 하죠. 저만의 지휘를 하고 싶어요.”

aera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