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치 않는 전쟁, 국권 침탈의 아픔…잊지 말아야 할 과거의 시간

신간 ‘조선인들의 청일전쟁: 전쟁과 휴머니즘’·’한국 병합’ 등

청일전쟁 당시 서해해전을 묘사한 근대 판화
안산어촌민속박물관 소장품 [전국 박물관 소장품 검색 누리집 ‘e뮤지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김예나 기자 = 일본을 가리켜 ‘가깝고도 먼 나라’라고 말할 때가 많다.

지리적으로 가까워 오랜 시간 서로 영향을 주고받아 왔지만, 여태 해결하지 못한 채 각을 세우는 문제도 많다. 19∼20세기 전후 역사 문제가 대표적이다.

한국과 일본, 두 나라의 지난 시간을 되짚으며 역사적 교훈을 고민해볼 수 있는 책들이 잇달아 나와 눈길을 끈다.

조재곤 서강대 국제한국학연구소 학술연구교수의 신간 ‘조선인들의 청일전쟁: 전쟁과 휴머니즘'(푸른역사)은 1894∼1895년에 발발한 청일전쟁에 주목한 책이다.

책 표지 이미지
[푸른역사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청일전쟁은 조선 지배권을 놓고 중국(청)과 일본 사이에 벌어진 무력 충돌이다.

일본은 조선의 내정 개혁을 명분 삼아 1894년 경복궁을 기습 공격했고, 이후 본격적인 전투에서 잇달아 승리를 거뒀다. 일본에는 환희를, 중국에는 치욕과 좌절을 맛보게 한 셈이다.

저자는 이 전쟁을 “한중일 동아시아 삼국이 시간적·공간적으로 어우러진 계기이자 삼국의 근대화 과정에서 한 획을 그은 커다란 사건”으로 규정하면서 당시 조선의 현실에 주목한다.

그는 한반도를 둘러싼 주변 정세가 심상치 않은 상황에서 원치 않게 ‘남의 나라 전쟁’에 휩쓸린 조선과 전장에서 치러야 했던 막대한 피해를 다양한 사료로 꼼꼼하게 서술한다.

을사늑약 관련 자료
덕수궁 돈덕전에 전시된 복제품 [연합뉴스 자료사진]

3·1절에 맞춰 출간된 ‘한국 병합'(열린책들)은 일본이 대한제국을 강제로 병합하는 과정을 되짚은 책이다.

한국 근대사를 연구해 온 모리 마유코(森万佑子) 도쿄여자대학 부교수는 대한제국이 성립하고 붕괴해 가는 과정에 초점을 맞춰 국권 피탈의 수난사를 들여다본다.

그는 조선을 둘러싼 청일전쟁, 조선의 근대화 개혁인 갑오개혁 등 굵직한 사건을 설명하면서 대한제국이 어떻게 일본의 식민지가 되어 갔는지 살펴본다.

책은 1990년대 이후 한일 두 나라의 연구 성과와 논쟁점도 비중 있게 다룬다.

역사학과 국제법의 학술적 공방이 이어지는 가운데, 저자는 “일본이 한국인으로부터 통치에 대한 ‘합의’와 ‘정당성’을 무리하게 얻으려고 했다”는 점을 확인했다고 역설한다.

일본의 젊은 학자가 한일 간 갈등의 시작점을 들여다보려 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책 표지 이미지
[열린책들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일제의 침탈과 억압을 보다 쉽게 풀어낸 교양서 두 권도 주목할 만하다.

동북아역사재단의 ‘일제 침탈사 바로 알기’ 시리즈의 하나인 ‘근대 일본의 침략전쟁과 제노사이드’는 근대 동아시아 전쟁사에서 일본군이 자행한 집단학살, 즉 제노사이드를 다룬다.

일본 근대사를 전공한 서민교 씨는 1894년 청일전쟁부터 1945년 아시아·태평양 전쟁에서 패전을 맞이하기까지 제국주의 일본이 자행한 여러 학살 사건을 설명해준다.

그는 “근대 침략전쟁이 낳은 역사적 비극에 대해 올바로 인식하고, 이러한 비극이 다시는 반복되지 않도록 역사적 교훈으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박미아 씨가 쓴 ‘파친코를 통해 보는 재일코리안 차별의 역사'(동북아역사재단)는 일제강점기에 일본으로 건너가 대를 이어 살고 있는 ‘재일코리안’과 파친코라는 독특한 산업 뒤에 자리한 역사를 비춘다.

▲ 조선인들의 청일전쟁: 전쟁과 휴머니즘 = 조재곤 지음. 724쪽.

▲ 한국 병합 = 모리 마유코 지음. 최덕수 옮김. 392쪽.

▲ 근대 일본의 침략전쟁과 제노사이드 = 서민교 지음. 78쪽.

▲ 파친코를 통해 보는 재일코리안 차별의 역사 = 박미아 지음. 93쪽.

책 표지 이미지
[동북아역사재단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ye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