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청률 0%대 아이돌 오디션 프로그램 계속 만드는 이유는

KBS ‘메이크메이트원’·엠넷 ‘아이랜드2’·SBS ‘유니버스 리그’ 등

성장 과정 보여주며 팬덤 확보…장래 부가 수익 노린 사업적 선택

JTBC ‘알유넥스트’ 통해 데뷔한 걸그룹 아일릿의 데뷔 무대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오명언 기자 = 엠넷 ‘보이즈플래닛’, MBC ‘소년판타지’, JTBC ‘알유넥스트’, SBS ‘유니버스 티켓’. 지난 1년간 방송된 아이돌 서바이벌 중 그나마 화제가 된 프로그램들인데, 시청률은 처참하다.

이들은 모두 평균 시청률 0%대를 벗어나지 못했다. ‘보이즈플래닛’ 그나마 상승세를 보여 자체 최고 시청률 1.2%로 종영했지만, 평균은 0%대에 머물렀다.

1월 종영한 ‘유니버스 티켓’은 첫 회 시청률 1.1%로 출발해 내내 0%대를 기록하다가 결국 0.6%로 막을 내렸다. 비슷한 포맷의 프로그램이 이어지면서 관심도가 높지 않고 시청률도 낮아진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런데도 아이돌 서바이벌 프로그램 제작은 끊이지 않고 있다. SBS는 ‘유니버스 티켓’이 종영한 지 약 3달 만에 시즌2 제작 방침을 공개했다. 보이그룹 서바이벌 ‘유니버스 리그’ 지원자를 22일부터 모집해 올해 하반기 중 방송할 예정이다.

시청률이 낮아도 아이돌 서바이벌 프로그램이 이어지는 것은 참가자가 시행착오를 겪으며 아이돌로 거듭나는 과정을 소개하는 것이 팬덤을 확보하는데 효과적이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K팝의 활동 무대가 세계로 넓어진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마니아층에 의존하는 아이돌 서바이벌 프로그램들은 해외 K팝 팬들의 관심을 유도하는 전략을 쓴다. 예를 들면 글로벌 오디션으로 아이돌 지망생을 세계 각국에서 모집하고, 글로벌 팬덤의 투표를 반영해 참가자들을 평가한다.

KBS 아이돌 오디션 ‘메이크메이트원'(MA1)
[KBS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KBS가 오랜만에 선보이는 아이돌 오디션 ‘메이크메이트원'(MA1)은 글로벌 아이돌 데뷔 프로젝트를 표방한다. 여러 나라 출신 도전자 36명이 아이돌이라는 꿈을 향해 경쟁하는 과정을 담아낸다.

정덕현 대중문화평론가는 “요즘 아이돌 서바이벌은 내수용이 아니라 해외 시청자들을 공략해서 글로벌 팬덤을 끌어모으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방송사 입장에서 아이돌 서바이벌은 콘텐츠로서의 가치보다 사업적인 가치가 더 크다”며 “요즘은 방송만 해서 프로그램 제작비를 감당하기 쉽지 않기 때문에 방송사들도 여러 가지 부가 수익을 생각할 수밖에 없는데, 방송을 통해 탄탄한 팬층을 확보한 아이돌 그룹은 좋은 부가 사업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미 아이돌 서바이벌 포맷을 활용한 성공 사례가 있다. 엠넷의 ‘보이즈플래닛’으로 작년에 데뷔한 보이그룹 제로베이스원은 K팝 그룹 사상 최초로 데뷔 첫날 밀리언셀러 타이틀을 얻었다.

엠넷 ‘아이랜드2: N/a’
[엠넷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엠넷은 해외 팬들을 타깃으로 하는 새로운 아이돌 서바이벌 프로그램’아이랜드2: N/a’를 18일 처음 방영했다. 차세대 K팝 아티스트 자리를 두고 준비생 24명이 경쟁하는 과정을 담는 관찰형 리얼리티 프로그램이다. 10개국 13개 도시에서 대규모 글로벌 오디션을 거쳐 24명의 지원자를 선발했다.

연출을 맡은 김신영 PD는 제작발표회에서 “프로그램을 통해 결성된 걸그룹의 글로벌 역량을 당연히 염두에 두고 있기 때문에 글로벌 오디션을 진행했다”며 “준비가 돼 있는 친구들을 선정했고, 프로그램을 통해서도 성장할 것을 기대한다. 데뷔 조는 케이콘을 비롯한 여러 해외 무대에서 활약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SBS ‘유니버스 티켓’ 통해 데뷔한 걸그룹 유니스 신곡 무대
[연합뉴스 자료사진]

김교석 대중문화평론가는 “오디션으로 아이돌 그룹이 탄생하면 유닛 활동을 하는데, 몇 년 동안 매니지먼트를 맡는 계약 등을 통해 방송사에서는 여러 부가 수익을 낼 수 있게 된다”며 “아이돌 그룹을 활용해 일종의 지적재산(IP) 사업을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다양한 뉴미디어의 등장으로 인해 경쟁이 심화하는 와중에 아이돌 서바이벌은 그나마 기존 방송사들이 경쟁력을 가진 분야이다. 방송사들은 오래전부터 K팝 산업의 주요 축으로 활약하면서 규모와 노하우를 갖춰왔기 때문에 가장 잘 할 수 있는 것을 하는 셈이라고 덧붙였다.

coup@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