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영화아카데미서 지역 영화계 간담회…”투자와 인력 매칭·로케이션 유인 필요”
입장권 부과금 폐지 추진 우려엔 “영화발전기금 축소 아냐”
(부산=연합뉴스) 이은정 기자 =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19일 “부산을 진정한 영상 도시로 만들려면 영화 인구가 이곳에서 살며 활동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유 장관은 이날 부산시 수영구 한국영화아카데미에서 이 지역 영화산업 관계자들과 만나 애로사항을 경청하고 부산을 영상 도시로 발전시킬 방안을 모색하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 지역 영화 제작사가 21곳이며 올해 초 개봉해 호평받은 영화 ‘소풍’을 부산의 로케트필름이 제작했다는 이야기에 “부산에도 장편 상업 영화를 만드는 시스템이 있는지 궁금했는데 충분히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런 부분을 키우려면 부산시나 한국콘텐츠진흥원 등의 펀드, 영화진흥위원회 산하 한국영화아카데미의 인력 등이 잘 매칭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유 장관은 부산이 영상 도시로 나아가려면 부산시와 관련 기관의 사고 전환과 영화인들의 의지, 정부 정책이 맞물려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그는 “부산에서 제작하면 혜택을 주는 유인 시스템을 만들어야 하고, 이 지역 영화인들의 의지도 중요하다”며 “정부도 부산시와 함께 이에 부합하는 정책을 만들어야 한다. 부산이 영상 중심 도시로 가기 위한 태스크포스(TF)를 꾸리든지 더 의논하면서 힘을 합해보겠다”고 말했다.
전날 부산시 기장군에서 열린 영화진흥위원회의 부산촬영소 착공식에 참석한 유 장관은 “2년 뒤 지어질 촬영소도 특수효과 등 다른 곳에서 할 수 없는 조건을 갖추지 않으면 효과가 없을 수 있다. 기존 스튜디오와 같은 스타일로 만들어놓으면 경쟁력을 갖기 어렵다”고도 짚었다.
이날 간담회에는 김영진 로케트필름 대표, 김예솔 눈 대표, 조다빈 청춘필름 대표, 부산 출신 장용우 감독과 함께 한상준 영화진흥위원장, 박광수 부산국제영화제 이사장, 김영덕 아시아 콘텐츠&필름마켓 위원장 등이 참석했다.
김영진 대표는 “부산은 (영화 제작을 위한) 하드웨어가 좋고 과도기적으로 성장하는 시기인 것 같다”면서도 “메이저 투자 배급사, 펀딩사가 서울에 있어 부산에서 자체적으로 활동하기 어렵다. 캐스팅에도 어려움이 있고, 우수한 영화 인력이 서울로 가니 지역 영상 산업과 매칭이 안 된다. 순환이 잘되도록 정부에서 신경 써주면 좋겠다”고 건의했다.
부산영화영상협의회장인 조다빈 청춘필름 대표도 부산 지역 영화사와 투자사, 매니지먼트사가 만나는 네트워킹 장의 필요성과 함께 서울로 빠져나가는 영화 인력 유출 문제를 지적했다.
간담회에서는 정부가 영화관 입장권 부과금 폐지를 추진해 이를 재원으로 운영하는 영화발전기금 축소에 대한 우려도 언급됐다.
유 장관은 영화발전기금의 축소가 아니라면서 “(입장권) 부과금을 없애는 건 일종의 간접세를 줄여 국민 부담을 줄이자는 것이다. (줄어든 부분은) 정부 예산으로 보전한다는 계획이다. 다만, 부과금 문제는 법 개정 사항이어서 국회에서 법이 통과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유 장관은 이에 앞서 한국영화아카데미 시설을 둘러보고 예비 영화인인 학생들을 만나 장관이자 대선배 배우로서 조언을 아끼지 않았다. 1984년 영화진흥위원회가 설립한 한국영화아카데미는 2018년 부산으로 이전했으며 봉준호, 장준환, 최동훈 감독 등 올해 상반기 기준 900여 명의 영화인을 배출했다.
유 장관은 한 학생이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인 것”이라고 언급하자 재미 교포 감독의 영화와 아이돌 가수의 K팝을 예로 들며 “서양의 것에 우리 정서가 흐르는 우리 문법이 이미 국제 무대에서 통하는 세계적인 것이 됐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 영화의 미래에 대한 질문에는 “올해 칸영화제 출품작이 없고 미개봉 영화가 쌓여 한국 영화가 위기라는데, 글로벌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가 생기며 제작 단가가 올라 시장 자체가 어려워졌다”며 “지금도 변화하는 시기에 있지만 영화 산업 미래는 분명히 괜찮아질 것이다. 이제 우리 스스로가 자긍심을 높여 부산영화제를 칸영화제처럼 만들면 좋겠다”고 답했다.
mimi@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