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청, ‘권상하 초상’·’유설경학대장’ 등 4건 보물 지정

[국가유산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김예나 기자 = 조선시대 노학자의 모습을 담은 초상화, 과거 시험을 위한 족집게 책 등이 보물이 됐다.
국가유산청은 평양 출신의 화가 김진여(1675∼1760)가 그린 ‘권상하 초상’ 등 4건을 보물로 지정했다고 22일 밝혔다.
권상하(1641∼1721)는 기호학파의 정통 계승자로 꼽히는 학자다.
우암(尤庵) 송시열(1607∼1689)의 학문과 학통을 이은 것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한수재집'(寒水齋集), ‘삼서집의'(三書輯疑) 등을 저술했다.
의림지 역사박물관이 소장한 초상화는 충북 제천 황강영당에 봉안된 그림이다.

[국가유산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그림에는 ‘한수옹(권상하를 뜻함) 79세 진영'(寒水翁七十九歲眞)이라는 문구가 남아 있어 초상화의 주인공이 권상하이며 그가 79세 때 모습을 그린 것임을 알 수 있다.
또, 숙종(재위 1674∼1720)의 어진(御眞·왕의 초상화)을 제작할 때 참여한 화원 김진여가 1719년에 그렸다는 점도 확인할 수 있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부드러운 필선과 입체감을 강조한 표현법으로 권상하의 강직한 성품을 효과적으로 보여주는 작품”이라며 “보존 상태가 양호하다는 점에서도 가치가 크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보물로 지정된 ‘유설경학대장'(類說經學隊仗)은 과거시험에 출제되는 경학의 주요 항목 148개 내용을 요점 정리한 책이다.

[국가유산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상·중·하 3권으로 된 이 책은 서지학 연구에 있어 중요한 자료로 여겨진다.
성균관대 존경각이 소장한 이 자료는 조선 초기 금속활자인 경자자(庚子字) 가운데 가장 작은 크기의 활자로 찍어낸 것으로 추정된다. 경자자는 1420년 구리로 만든 활자를 일컫는다.
경자자 중에서도 가장 작은 크기로 본문 전체를 인쇄한 희귀한 자료다.

[국가유산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국가유산청은 ‘영광 불갑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시왕상 일괄 및 복장유물’, ‘해남 은적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등 불교 문화유산 2건도 각각 보물로 지정됐다.
불갑사 불상과 복장유물은 1654년 완성해 불갑사 명부전에 봉안한 것으로, 제작 당시의 형태가 그대로 전해져 조선 후기 불교 신앙과 조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은적사 불상은 신라 말 고려 초의 조형성과 예술성을 갖춘 유물로 평가받는다.

[국가유산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ye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