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형식 다큐 ‘미래엔딩’, 다큐에 드라마 담은 ‘인간’
정형화된 틀 깨고 시청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장점
(서울=연합뉴스) 황재하 기자 = 뉴스 형식으로 만든 다큐멘터리 ‘미래엔딩’, 드라마의 서사를 입힌 다큐 ‘인간: 신세계로부터’, 다큐에 음악 예능과 드라마의 요소를 더한 ‘지구 위 블랙박스’….
최근 방송가에서 뉴스나 드라마, 음악 예능의 형식을 더해 기존의 정형화된 틀을 깨는 다큐 프로그램이 잇달아 제작되고 있다.
이 같은 시도는 시청자에게 새롭고 신선한 재미를 줄 가능성이 있고 기존 표현 방식의 한계를 뛰어넘는 만큼 창작자가 더 많은 재량을 펼칠 수 있다는 강점이 있다.
10일 방송가에 따르면 토종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티빙은 기후 변화가 지속될 경우 미래에 벌어질 수 있는 재난 상황을 짚어보는 5부작 다큐 ‘미래엔딩’을 이달 30일 공개할 예정이다.
그간 기후 위기를 다룬 다큐는 무수히 많았지만, 이 프로그램은 방송 뉴스 프로그램의 형식을 입혔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JTBC 백다혜 앵커가 출연하고, 배우 박해수가 현재와 과거, 미래 상황을 해설하는 역할을 맡았다. 이들은 뉴스를 전하듯 기후 변화로 인한 재난을 시청자에게 전달한다.
KBS 1TV가 지난 9일 처음 방송한 ‘인간: 신세계로부터’는 인류사에 중대한 의미를 가진 미술 작품들을 소개하는 인문학 다큐에 드라마를 접목한 프로그램이다.
기후 변화로 종말을 맞이한 미래를 배경으로 과거에 화가였던 노인 서준(안석환 분)이 사라져버린 인간다움을 담은 예술작품을 찾아 헤매는 과정을 드라마로 담고, 이에 맞물려 다큐가 펼쳐진다.
이 프로그램은 서준이 AI 소녀와 함께 폐허가 된 건물에 들어가 과거의 명화들을 담은 작은 수첩을 발견하는 데서 시작한다.
서준은 수첩에서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모나리자’를 발견하고, 이어 서준의 내레이션과 함께 자료화면으로 넘어간다. 서준은 인간의 미소가 그림의 소재로 등장한 것이 ‘신세계의 시작’이었다며 그 의미를 설명하기 시작한다.
지난달 9일부터 24일까지 방송된 KBS 2TV ‘지구 위 블랙박스’는 기후 위기의 심각성을 쉽게 전하고 시청자의 공감을 끌어내기 위해 제작된 프로그램으로 다큐, 예능, 드라마의 성격을 모두 갖췄다.
‘지구 위 블랙박스’는 기후 변화로 황폐해진 오늘날 지구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 곳에서 아티스트들이 노래와 춤을 선보이고, 이를 기록으로 남긴다.
이렇게 기록된 모습을 지구가 더는 살 수 없는 곳이 돼버린 미래에 사람들이 꺼내본다는 것이 드라마의 주된 내용이다.
지구의 모습을 관찰하는 임무를 띤 ‘기록자’들은 과거인 2023년 지구의 기록을 보면서 “저 때는 아직 희망이 있었다”고 한탄한다.
이 프로그램은 여기에 더해 기후 변화를 지켜본 2023년의 아티스트들이 느낀 감정도 인터뷰를 통해 전달한다.
달라진 기후 위기 실태를 보여주는 환경 다큐, 아티스트의 공연을 볼 수 있는 음악 예능, 이 두 요소를 연결하고 기후 변화로 인한 파멸을 경고하는 드라마가 조화를 이뤘다.
이미 공개된 ‘지구 위 블랙박스’와 ‘인간: 신세계로부터’는 자칫 무료하고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 환경과 인문학이란 주제에 시청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했다는 점에서 호평받았다.
‘지구 위 블랙박스’ 클립을 담은 유튜브 동영상에는 “환경에 대한 관심을 새로운 방식으로 접근해 유도한 참신한 프로”라는 댓글이 달렸다. ‘인간’ 1회 전편을 공개한 유튜브 페이지 댓글 창에도 “안석환 배우의 연기와 내레이션이 다큐의 깊이를 더한 것 같다”는 반응이 나왔다.
공개를 앞둔 티빙의 ‘미래엔딩’ 역시 뉴스의 형식을 접목한 만큼 기존 다큐보다 정보를 쉽고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이처럼 서로 다른 형식을 접목한 프로그램은 새롭고 신선한 콘텐츠를 원하는 시청자의 갈증을 해소하고 기존 형식이 가진 표현의 한계를 뛰어넘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지구 위 블랙박스’를 연출한 구민정 PD는 이처럼 여러 형식을 접목해 콘텐츠를 제작한 이유에 대해 “머리로 이해하기보다 감정을 울리는 데 초점을 두자고 생각했는데, 결국 감정적인 부분을 건드릴 수 있는 것은 음악과 드라마라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jae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