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직업 고를 때 “수입이 중요”…10년새 25%→35%

선호하는 직장은 국가기관→대기업…”경제 여건 등 반영”

 

청소년 고민 (PG)

[강민지 제작] 일러스트

(세종=연합뉴스) 송정은 기자 = 청소년 10명 중 3.5명은 직업 선택의 최우선 기준으로 ‘수입’을 꼽았다. 직업 선택 요인에서 수입이 차지하는 비중은 10년 새 꾸준히 늘어 ‘적성·흥미’를 제치고 1위로 올라섰다.

18일 통계청의 ‘2023년 사회조사’에 따르면 13∼19세 청소년 가운데 35.7%가 직업을 고를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이 ‘수입’이라고 답했다.

이어 적성·흥미(30.6%), 안정성(16.0%), 발전성·장래성(4.9%), 명예·명성(4.5%) 순으로 응답 비율이 높았다.

10년 전인 2013년에는 적성·흥미가 38.1%로 1위였다. 수입과 안정성은 각 25.5%, 18.6%를 차지했다.

적성·흥미는 2017년까지 1위를 유지하다가 2019년 수입에 자리를 내줬다.

수입의 비중은 2013년과 올해를 비교하면 10년 만에 10.2%포인트(p) 늘었다.

반면 적성·흥미는 7.5%p 줄었다. 안정성과 보람·자아실현도 2.6%p, 3.4%p씩 감소했다.

수입이 중요하다고 고른 10대가 느는 동시에 선호하는 직장도 과거 안정성이 뛰어난 공무원에서 대기업으로 바뀌는 양상이다.

올해 10대(13∼18세)가 선호하는 직장 종류 조사에서는 대기업이 31.4%로 1위를 기록했다.

국가기관은 19.2%로 2위를 차지했고 전문직기(11.9%), 공기업(11.3%), 창업 등 자영업(10.8%) 순이었다.

2013년에는 국가기관이 29.7%로 1위였다. 대기업은 24.2%로 2위였고 공기업(12.7%)이 뒤를 이었다.

대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10년 새 7.2%p 늘었고, 국가기관은 10.5%p 축소됐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김기헌 청년정책연구실장은 “경제적 여건과 관련이 있다. 경제 상황이 나빠지면 금전적 필요성이 커져 이를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국은 노동시장이 이중구조로,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가 크다. 이는 대기업 쏠림 현상으로 이어진다”고 했다.

공무원 비선호 현상과 관련해서는 “채용 규모에 영향받는다. 최근에는 공무원 정원을 줄이는 쪽으로 가고 있어 공무원이 되기 어려워지니까 줄어드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sje@yna.co.kr

청소년 진로직업박람회

[연합뉴스 자료사진]

[표] 13∼19세의 직업 선택 요인(단위 : %)

시점 명예 명성 안정성 수입 적성 흥미 보람∙자아실현 발전성·장래성 근무환경 기타 잘 모르겠다
2011 4.3 17.5 24.5 39.4 6.5 6.1 0.1 1.8
2013 4.2 18.6 25.5 38.1 6.9 5.1 1.6
2015 4.6 19.9 26.1 37.1 6.2 5.1 1.0
2017 4.2 17.6 28.2 36.3 6.0 6.0 0.0 1.7
2019 4.3 19.7 32.3 30.2 4.2 6.7 1.3 0.2 1.1
2021 4.9 16.6 34.3 31.3 3.9 3.7 3.9 1.3
2023 4.5 16.0 35.7 30.6 3.5 4.9 3.4 0.1 1.4

(자료 :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 ※2019년 근무환경 항목 신규 추가)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