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w&Basic
archives
본문

1 이름을 읽는 방법은 법으로 결정되지 않았습니다.
호적에 읽어 가명을 흔드는 것에 대해, 2023년의 호적법 개정을 목표로 법제 심의회에서 중간 시안이 정리되었습니다.
원래, 별로 알려지지 않은 것이, 이름의 읽는 방법은, 호적에서는 관리되고 있지 않습니다.
출생신고서에는 읽을 가명을 기재합니다만, 그것을 호적을 만들 때에는 실려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갑자기 내일부터 다른 독서 방식으로 자칭해도 법적으로 문제는 없습니다.
드물게, 「켄타(켄타)」라고 어려운 읽는 방법을 하는 사람으로, 시청이나 은행 등에는 「켄타(켄타)」라고 간단한 읽는 방법으로 신고를 하고 있는 사람은 있습니다.
이번은, 마이 넘버 카드의 보급에 맞추어, 읽기 가명을 호적에 기재하도록(듯이) 변경하려고 하는 것입니다.
상속 사건에서는 변호사는 반드시 호적을 보는데, 옛 사람의 이름을 읽는 방법이 자료에서는 전혀 모르고 의뢰자에게 확인을 한다는 것은 자주 있습니다.
2 읽기 가명이 결정되는 것과 상속과의 관계
은행 등은 계좌 정보를 관리하기 위해 이름을 읽는 가명도 사용합니다.
그 때문에, 사망한 사람의 계좌 번호를 모르고 조사를 할 때는, 이름의 읽을 가명으로 검색을 합니다.
예를 들면, 「타나카 켄타(타나카 켄다이 )」라고 하는 사람이라면, 「타나카켄다이」명의의 계좌를 조사합니다.
그러나 만일 '타나카켄타 ' 명의로 계좌를 만들고 있었다면 '타나카켄다이 '로 조사를 걸어도 간과해 버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근처는 은행 담당자가 잘 대응해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유산 분할 협의를 마치고 나서, 새롭게 간과하고 있던 계좌가 발견되면, 또 처음부터 유산 분할 협의를 다시 시작해 버리기 때문에 대단합니다.
호적에서 독자 가명이 정해지면, 다른 독자 가명으로 등록한 계좌가 있어도 조사를 하지 않게 되어 간과가 생기기 쉬워질지도 모릅니다.
3 기타 문제점
실제로, 세간적으로 제일 관심이 있는 것은, 어디까지 돌비인 읽는 방법(속으로 말하는 「반짝반짝 네임」)을 인정하는 것입니다.
중간 시안에서는
・어떤 읽는 방법이라도 인정한다
・사용하고 있는 한자와 관련성이 있는 읽는 방법만 인정한다
등 있는 것 같습니다만, 이 근처는, 향후의 논의로 정해져 가는 것 같습니다.
- Prev"적정한"유산 분할을 하는 어려움 25.07.29
- Next유언집행자를 붙여야 할까? 25.07.27